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.
알은 새의 세계이다.
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만 한다.
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.
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이다.
헤르만 헤세 - 데미안.
헤세는 40세 되던 해부터 갑자기 수채화를 그리기 시작했고 말년에
이르기까지 붓을 놓지 않았다. 헤세가 주로 그린 것은 루가노호수가
내려다
보이는 스위스의 평온한 시골풍경과 몬테놀라 근교의 자연
풍경이었다.
|
약력 :
1877년 독일 뷔르템베르크 출생 1890년 괴팅엔의 라틴어 학교 입학 1891년
마울브론 신학교 입학 1892년 작가가 되기 위해 신학교 자퇴 1902년 시집 <시모음(Gedichte)>
출간 1905년 <수레바퀴 밑에서> 출간 1911년 화가 한스 쉬틀제네거와 함께 인도 여행 1919년 에밀
싱크레어라는 이름으로 <데미안> 발표 1939년 2차 세계대전 발발. 나치의 탄압으로 작품들이 몰수되고 출판
금지됨 1957년 <헤세 전집> 출간 1962년 뇌출혈로
사망
|
헷세는 그의 생의 반
이상을 이태리에 가까운 스위스의 테신(Tessin)에서 2000 여 점이 넘는 그림을 그렸다.
특히 그는 뜨거운 여름
태양 밑에서 그림을 그리면서 그의 삶의 역경과 고뇌를 극복하였고 그림을 통하여 그의 이상세계를 그리려고
하였다.
![](http://hesse-library.mokwon.ac.kr/gallery/1-38-Blick%20nach%20Porlezza.jpg)
"사람이란 어느 누구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어. 그런데 만일 우리가
누군가를 두려워한다면 그건 자신을 지배할 수 있는 힘을 다른 어떤 사람에게 내준 데에 연유하고 있는 거야. 예를 들자면, 네가
어떤 나쁜 짓을 했는데 다른 사람이 알고 있어. 그러면 그는 너를 지배하는 힘을 갖게 되지."
헤세 /
<데미안> 중에서
![](http://hesse-library.mokwon.ac.kr/gallery/1-08-1Casa%20Camuzzi.jpg)
"사랑은 우리를 행복하게 해 주기 위해서 존재하지 않고, 우리가 고뇌와 인고 속에서 얼마나 강할 수 있는지를 보여 주기
위해서 존재하고 있다고 나는 믿는다."
헤세 / <삶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에게>
중에서
우리가 인생을 한곳에 묶어 두고 거기에 친숙해지는 순간, 무력감이 우릴 덮쳐 온다. 언제나 떠나고 방랑할
자세가 된 사람만이 습관이라는 마비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. 어쩌면 우리의 죽음의 순간마저도 우리에게 새로운 젊은 공간을
보내리라. 우릴 향한 생의 부름은 결코 그침이 없으리라... 그렇다면, 마음아, 이별을 하고 건강하게 살자!
헤세 /
<삶의 단계> 중에서
![](http://hesse-library.mokwon.ac.kr/gallery/1-36-Gartentreppe%20mit%20Reben.jpg)
![](http://hesse-library.mokwon.ac.kr/gallery/1-06-Tessiner%20Landschaft.jpg)
"만일 내가 외적으로 나의 삶을 먼 발치에서 본다면
그것은 뭐 특별히 행복하게 보이지는 않는다.
그러나 삶이 온갖 오류투성이었음에도
불구하고 불행했다고는 말할 수 없다.
하여튼 행복했는지 불행했는지를 묻는 것은
어리석은 것이다.
왜냐하면 나는 나의 삶의 가장 불행했던 날들을
유쾌한 날들보다 더 진지하게 몰두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.
만일 우리 인간의 삶 속에서 숙명적인 것을 의식적으로 받아들이고,
선과 악을 정말 끝까지 맛보고,
외적인것과 더불어 내적이고 원래적이고 필연적인 운명을 정복하게 되면,
삶은 빈곤하지 않았으며 나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."
헤세 / <게르트루트> 중에서
|